
세계 최고의 프로덕트 오너로 손 꼽히는 스티브 잡스는 2011년 아이패드2를 소개하는 프레젠테이션에서 “우리가 창의적인 제품을 만든 비결은 항상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의 등 뒤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에는 기술(Technology)로 가는 길의 표지판에 600이라는 숫자가, 인문학(Liberal Arts)으로 가는 길의 표지판에 1500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 이는 필자가 스티브 잡스의 의중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서 앞으로 기술로 가는 길보다는 인문학으로 가는 길이 더 길고도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에 관한 관심은 매우 유명하다. 그는 “만일 나에게 소크라테스와 오후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과 맞바꾸겠다”라고 말했을 뿐 아니라 “기술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기술이 예술과 인문학과 결합했을 때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그동안 사람들은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애썼지만, 사실은 반대로 기술이 사람을 찾아와야 한다”라고 말하며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철학은 애플의 모든 제품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애플이 생산하는 제품의 모든 기능은 반드시 그 기능에 대한 존재 이유가 명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가능하면 물리적 버튼을 제거하고 직관적인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도록 했다. 그리고 그는 경쟁사들이 제품에 다양한 기능을 더 탑재할 때 반대로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을 단순화했고, 이는 애플 제품 마니아를 탄생케 했으며 애플을 전 세계 최고의 회사로 우뚝 서게 했다.
21세기가 시작되고 2010년대가 지나가면서 이와 같은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은 시장에서 필수 불가결해졌다. 디지털로 대변되는 기술은 아날로그로 대변되는 인문학적 감성과 결합되면서 엄청난 파괴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디지로그(Digilog)라고 하는데, 이는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이다.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만으로는 21세기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지배할 수 없다는 시장의 깨달음이 디지로그를 탄생시켰고 이제 시장에서도 디지털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아날로그가 존중되고 풍부해져야만 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가장 좋은 디지털은 역시 감성적이고 따듯하며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지식인의 아이콘 이어령 교수는 2006년에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를 예측하고 “디지로그”란 책을 출간하였고 그 책의 내용에는 이러한 문구가 들어 있다.
“전화도 인터넷도 없던 시절 한국인들은 시루떡을 돌리는 방법으로 온 동네에 정보를 알렸다. 디지털 정보는 컴퓨터 칩을 타고 오지만 시루떡 아날로그 정보는 꼬불꼬불한 논두렁길을 타고 온다. 그래서 그것은 화려한 106화음이나 음침한 진동음으로 울리는 휴대전화 소리와는 다른 정취가 있다. 먼 데서 짖던 동네 개들의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다가 사립문 여는 소리로 바뀌면 시루떡에 실려 온 정보가 방 안으로 들어온다.”
“인터넷 시대의 디지털 정보가 차가우면 차가울수록, 아파트의 생활이 황량할수록, 따뜻하고 행복한 시루떡 돌리기와 같은 아날로그 정보의 기억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그래서 이따금 우리는 어린 시절에 듣던 ‘웬 떡이냐?’라는 환청을 듣는다.”
이어령 교수는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는 분리된 게 아니라 서로 어울리는 것이라 말하면서 인간과 비생명, 유물과 유신, 흑과 백 등과 같이 이항으로 대립한 세상을 이어주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면서 인터넷과 현실의 갭이 무너지면서 서로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협력하는 것이라 피력하였다.
그는 디지로그는 그저 공존의 의미가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세계가 하나가 되어 새로운 개념과 이념을 만들어 내는 것, 그래서 결국 두 세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런 이어령 교수의 “디지로그”는 스티브 잡스가 주장한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이는 또 애자일의 기본사상과도 매우 일치한다.
애자일은 자율적, 창의적, 혁신적, 실험적인 생각과 사람 간의 존중과 협업을 중시하는 인문학적 가치와 끝없는 반복 개선, 지속적인 탐구, 변화 수용 등의 기술적인 가치를 모두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절차보다는 사람을, 형식보다는 실질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애자일 문화는 2001년 17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애자일 선언문(Agile Manifesto)을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IT산업 분야에서만 적용되다 이제는 금융, 제조, 건설, 무역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일하는 방식으로 확산했다. 심지어 정부 기관에서도 애자일 정부를 표방함으로써 애자일은 21세기 들어 가장 경쟁력 있는 일하는 방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 GAFAM (Google/Apple/Facebook/Amazon/Microsoft)과 같은 빅테크 기업은 각기 다른 제품과 서비스를 품고 있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애자일 기업이자 전 세계 시가 총액 최상위에 있 기업이라는 것이다.
18~19세기 산업혁명 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전통기업의 명령과 지시에 의한 수직적 문화로는 21세기 디지털 시대, AI시대에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 미국의 GAFAM기업이나 국내의 네카라쿠배당토(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당근마켓·토스)
와 같은 애자일 기업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시장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애자일 방식에는 스티브 잡스의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과 이어령 교수의 “디지로그”가 고스란히 녹아 들어 있다.

김대일 (오픈소스컨설팅 애자일 컨설팅 고문 / Head of Agile Transformation)
전) AIA 생명 Chief Technology & Operation Officer / 부사장 역임
MetLife 생명 Chief Information & Operation Officer / 전무 역임
BNP Paribas Cardif 생명 Chief Information Officer / 상무 역임
Unisys Korea Global Industry Service 사업 본부장 / 상무 역임
HP Korea 기술 컨설팅 사업 본부 / 수석 컨설턴트 역임 등
세계 최고의 프로덕트 오너로 손 꼽히는 스티브 잡스는 2011년 아이패드2를 소개하는 프레젠테이션에서 “우리가 창의적인 제품을 만든 비결은 항상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에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의 등 뒤의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에는 기술(Technology)로 가는 길의 표지판에 600이라는 숫자가, 인문학(Liberal Arts)으로 가는 길의 표지판에 1500이라는 숫자가 적혀 있었다. 이는 필자가 스티브 잡스의 의중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가 제품을 만드는 데 있어서 앞으로 기술로 가는 길보다는 인문학으로 가는 길이 더 길고도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스티브 잡스의 인문학에 관한 관심은 매우 유명하다. 그는 “만일 나에게 소크라테스와 오후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애플의 모든 기술과 맞바꾸겠다”라고 말했을 뿐 아니라 “기술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기술이 예술과 인문학과 결합했을 때 우리의 마음을 울리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그동안 사람들은 기술을 따라잡기 위해 애썼지만, 사실은 반대로 기술이 사람을 찾아와야 한다”라고 말하며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을 강조하였다.
그의 이러한 철학은 애플의 모든 제품에 고스란히 반영되었다. 스티브 잡스는 애플이 생산하는 제품의 모든 기능은 반드시 그 기능에 대한 존재 이유가 명확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가능하면 물리적 버튼을 제거하고 직관적인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도록 했다. 그리고 그는 경쟁사들이 제품에 다양한 기능을 더 탑재할 때 반대로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을 단순화했고, 이는 애플 제품 마니아를 탄생케 했으며 애플을 전 세계 최고의 회사로 우뚝 서게 했다.
21세기가 시작되고 2010년대가 지나가면서 이와 같은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은 시장에서 필수 불가결해졌다. 디지털로 대변되는 기술은 아날로그로 대변되는 인문학적 감성과 결합되면서 엄청난 파괴력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디지로그(Digilog)라고 하는데, 이는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의 합성어이다.
혁신적인 디지털 기술만으로는 21세기 4차 산업 혁명 시대를 지배할 수 없다는 시장의 깨달음이 디지로그를 탄생시켰고 이제 시장에서도 디지털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아날로그가 존중되고 풍부해져야만 한다는 인식이 확산하고 가장 좋은 디지털은 역시 감성적이고 따듯하며 인간적이어야 한다는 생각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지식인의 아이콘 이어령 교수는 2006년에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를 예측하고 “디지로그”란 책을 출간하였고 그 책의 내용에는 이러한 문구가 들어 있다.
“전화도 인터넷도 없던 시절 한국인들은 시루떡을 돌리는 방법으로 온 동네에 정보를 알렸다. 디지털 정보는 컴퓨터 칩을 타고 오지만 시루떡 아날로그 정보는 꼬불꼬불한 논두렁길을 타고 온다. 그래서 그것은 화려한 106화음이나 음침한 진동음으로 울리는 휴대전화 소리와는 다른 정취가 있다. 먼 데서 짖던 동네 개들의 소리가 점점 가까워지다가 사립문 여는 소리로 바뀌면 시루떡에 실려 온 정보가 방 안으로 들어온다.”
“인터넷 시대의 디지털 정보가 차가우면 차가울수록, 아파트의 생활이 황량할수록, 따뜻하고 행복한 시루떡 돌리기와 같은 아날로그 정보의 기억이 선명하게 떠오른다. 그래서 이따금 우리는 어린 시절에 듣던 ‘웬 떡이냐?’라는 환청을 듣는다.”
이어령 교수는 디지털 세계와 아날로그 세계는 분리된 게 아니라 서로 어울리는 것이라 말하면서 인간과 비생명, 유물과 유신, 흑과 백 등과 같이 이항으로 대립한 세상을 이어주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면서 인터넷과 현실의 갭이 무너지면서 서로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협력하는 것이라 피력하였다.
그는 디지로그는 그저 공존의 의미가 아니라 서로 다른 두 세계가 하나가 되어 새로운 개념과 이념을 만들어 내는 것, 그래서 결국 두 세상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이런 이어령 교수의 “디지로그”는 스티브 잡스가 주장한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이는 또 애자일의 기본사상과도 매우 일치한다.
애자일은 자율적, 창의적, 혁신적, 실험적인 생각과 사람 간의 존중과 협업을 중시하는 인문학적 가치와 끝없는 반복 개선, 지속적인 탐구, 변화 수용 등의 기술적인 가치를 모두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절차보다는 사람을, 형식보다는 실질적인 가치를 중시하는 애자일 문화는 2001년 17명의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애자일 선언문(Agile Manifesto)을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처음에는 IT산업 분야에서만 적용되다 이제는 금융, 제조, 건설, 무역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일하는 방식으로 확산했다. 심지어 정부 기관에서도 애자일 정부를 표방함으로써 애자일은 21세기 들어 가장 경쟁력 있는 일하는 방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특히 GAFAM (Google/Apple/Facebook/Amazon/Microsoft)과 같은 빅테크 기업은 각기 다른 제품과 서비스를 품고 있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모두 애자일 기업이자 전 세계 시가 총액 최상위에 있 기업이라는 것이다.
18~19세기 산업혁명 시대에 주류를 이루었던 전통기업의 명령과 지시에 의한 수직적 문화로는 21세기 디지털 시대, AI시대에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 미국의 GAFAM기업이나 국내의 네카라쿠배당토(네이버·카카오·라인·쿠팡·배달의민족·당근마켓·토스)
와 같은 애자일 기업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로 시장을 지배하기 때문이다.
애자일 방식에는 스티브 잡스의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과 이어령 교수의 “디지로그”가 고스란히 녹아 들어 있다.
김대일 (오픈소스컨설팅 애자일 컨설팅 고문 / Head of Agile Transformation)
전) AIA 생명 Chief Technology & Operation Officer / 부사장 역임
MetLife 생명 Chief Information & Operation Officer / 전무 역임
BNP Paribas Cardif 생명 Chief Information Officer / 상무 역임
Unisys Korea Global Industry Service 사업 본부장 / 상무 역임
HP Korea 기술 컨설팅 사업 본부 / 수석 컨설턴트 역임 등